사회통합학부 상담심리교육전공
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발달·적응 문제의 이해와 해결을 바탕으로 자기수용, 상담지식 내면화, 상담기술의 실제 적용, 인성교육 습관화를 통해내담자의 삶의 향상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상담사 및 상담교사를 양성한다.
전문적 역량을 갖춘 장애인 전문상담사, 상담교사,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‘포용적 전문조력자’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며, 학부과정 내에서 상담교사 2급 자격 취득이 가능한 교직과정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.
졸업 후 일반학교 및 특수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로 활동할 수 있으며,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, 공공기관, 복지관 및 재활센터, Wee센터, 기업체, 상담센터 등에서 전문심리상담사로 진출 할 수 있다. 또한 치료센터와 상담기관을 직접 운영하거나, 고용노동부의 「중증장애인 지역맞춤형 취업지원」 시범사업을 통해 동료지원가로 활동하는 등 진로의 폭이 넓다. 이와 더불어 본교 교육대학원 ‘장애상담심리교육전공’을 비롯한 상담심리, 교육심리, 교육상담, 재활심리 등 관련 분야로의 대학원 진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.
-
-
위치
- 인학관 B동 104호
-
-
-
전화
- 031-610-4211
-
-
-
팩스
- 031-610-4212
-
교육목표
- 청소년들의 발달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심리·사회적 문제를 이해하고, 생애주기별 삶의 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 직업상담사 및 상담교사 양성
- 장애로 인한 적응, 진로, 대인관계, 문제 해결 등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심리평가, 개인상담, 집단상담, 심리치료 역량을 갖춘 장애인재활상담사 양성
- 상담이론과 실습, 인성교육을 결합한 현장 중심의 전문성과 실천력을 갖춘 상담 전문가 양성
졸업 후 진로
-
일반학교 및 특수학교 전문상담 교사(상담교사 2급 자격 취득 시)
-
국가기관, 지방자치단체, 복지관, 재활센터, Wee센터 등 공공상담기관의 상담전문가
-
기업체(예: SK Telecom Service ACE社) 및 민간상담기관의 전문심리상담사
-
치료센터 및 상담센터의 창업‧운영
-
고용노동부 「중증장애인 지역맞춤형 취업지원」 시범사업을 통한 동료지원가 진출
-
본교 교육대학원 ‘장애상담심리교육전공’을 포함한, 상담심리, 교육심리, 교육상담 재활심리 등 관련 분야 대학원 진학